MY MENU

냉각탑

냉각탑 형식에 따른 비교

Rooftop Unit Type 직교류형 (Cross flow type) 대향류형 (Counter flow type)
열교환방식 및 효율 냉각수와 유입공기접촉이 충진재면을 서로 직교차하는 열교환방신 소요면적당의 열효율은 대향류형에 비하여 낮다. 냉각수와 유입공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대향류) 소요면적당의 열교환효율은 직교휴형에 비하여 높다.
외형 길이 : 대향류형과 비슷하다. 폭 : 대항류형에 비해 약 2배정도 크다. 높이 : 대항류형에 비해 약 2/3정도의 높이다. 길이 : 직교류형과 비슷하다. 폭 : 직교휴형에 비해 약 1/2정도의 작다. 높이 : 직교류형에 비해 높다.
FRAME MAT' L C.S + Z.H.D or WOOD(+#CCA2), CONCRETE SS400 + Z.H.D OR WOOD(+#CCA2), CONCRETE
FILLING MAT' L P.P, PVC, PS, WOOD, ETC P.P, PVC, PS, WOOD, ETC
CASING MAT' L F.R.P, CACB, WOOD, CONCRETE, ETC F.R.P, CACB, WOOD, CONCRETE, ETC
FAN동력 적다. (10%) 크다. (10%)
水 분배방식 저압자연분배 저압분사방식
유지, 점검, 부수 통로, WALK WAY 및 작업공간이 충분하므로 점검보수가 용이하다. 통로, WALK WAY 및 작업공간이 협조하고 거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점검 및 보수가 어렵다.
설치면적 면적이 많이 소요된다. 좁은공간에 설치 가능하다.

냉각탑의 선정

  • 01Type 선택

    해당 공정에 맞는 특성적인 Type을 선정한다.

    주변환경, 냉각탑의 배치 및 구성, 냉각탑의 형태적인 여건 등을 감안하여 선정한다.

  • 02온도의 설정

    주변의 이후 여건 등을 감안하여 습구, 건구 온도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주면에 열원 혹은 고온다습의 증기배출구가 있는 곳은 냉각탑의 주변 여건상 주변온도의 설정에 적합하지 않다.

    기계 혹은 설비 전체의 특성을 무시한 냉각탑의 온도 설정은 피해야 한다. 일반 흡수식 냉동기의 경우, 입/출구온도가 31℃~40℃로 되어 있으나 냉각탑의 37/32℃의 설정은 냉각탑의 표준조건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 03수질분석

    냉각탑으로 유입되는 순환수의 수질은 냉각탑의 수명 뿐 아니라 성능 자체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를 무시한 냉각탑의 선정 및 설계는 지극히 타당하지 못하다.

  • 04구성재료의 선택

    수질,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골조의 재질로는 철제, 목재, 콘크리트의 형태가 있으며 설비의 특성에 맞는 냉각탑의 재질을 선택하여야 한다. 충진재의 선택도 사용온도 또는 수질 등을 감안하지 않고 선정하는 경우 막대한 재투자비가 소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료의 선택은 냉각탑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선택사항이다.

  • 05구조적인 확인

    주변의 풍속, 지진정도, 바람의 유통경로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냉각탑의 정하중 및 동하중도 충분히 감안하여 한다.

  • 06설치위치의 선정

    주변바랍의 유통이 원활하게 개방된 곳

    벽체 등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이 이격된 곳

    주변의 발생열원이 없는 곳

    기존 냉각탑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곳

    신설 냉각탑 사이의 흡입이 원활한 곳

    전기, 용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곳

    긴급상황 시, 대책이 원활한 곳

    건물의 옥상층 등에 냉각탑의 위치를 선정할 경우, 그로인한 진동과 소음방지대책 수립이 원활한 곳

    주변지역에 대한 사전점검 (예. 주택가, 분진 다량 발생지역, 중장비 및 고압전선 등)

    좌측표의 L치수는 장애물이 완전히 메워진 경우이며, 개구부가 있으면 개구율에 따라 L치수는 변화할 수 있습니다.

    내부이미지
    L치수
    100 RT 2.0m 이상
    125~175 RT 2.5m 이상
    200~400 RT 3.0m 이상
    500 RT 3.5m 이상

직교류 냉각탑

- 직교류형 냉각탑 제품규격

  • 내부이미지
  • 01경량화, 극소형

    고효율 Fan과 충진재를 채택하여 설치면적과 운전중량을 대폭 줄임

  • 02정숙한 운전형

    특수 설계한 Type으로 수적음이 거의 없어 정숙한 운전을 함

  • 03에너지 절약형

    압력 손실이 낮은 완전한 충진재와 저동력 Fan을 사용하므로 저렴한 운전비용과 간편한 구조로써 보수관리 비용도 절약됨.

  • 04우수한 내식형

    골조는 용융아연도금 강재를 사용하고 수조 및 Casing은 ERP로 사용함.

  • 05완제품 상차도 / 신속한 설치형

    공장에서 조립 시운전 후 완제품을 탑재하여 출고하므로 품질이 안정되고 반입 및 설치가 신속함.

사각대향류형 냉각탑

- 사각대향류형 냉각탑 제품규격

  • 내부이미지
  • 01새로운 디자인, 콤팩트한 디자인

    기존 공조용 냉각탑의 원형에서 탈피, 외형을 사각형으로 교체하여 주변 조형물과 조화를 이루었고, 콤팩트한 설계로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였습니다.

  • 02미려한 외관

    외형은 두 가지 색상의 FRP로 제작되며 직사광선 및 서리의 노출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작하였습니다.

  • 03열교환 성능 향상

    새로운 충진재 Type으로 높은 열교환이 되도록 설계, 효율을 높였습니다.

  • 04MODULAR TYPE

    기존 유니트에 용량 증가에 맞추어 댓수를 추가하므로 필요한 냉각능력을 만족시켰습니다.

  • 05비산률의 ZERO화

    점점 부족한 물, 환경적 제약 등을 고려한 냉각수 비산을 ZERO에 가깝도록 최소화 하였습니다.

    도심 및 인구밀집 지역의 빌딩, 호텔, 백화점 같은 대형건물 및 제조공장 등에 최적의 해결책이 될 것 입니다.

대향류형 냉각탑

- 대향류형 냉각탑 제품규격

  • 내부이미지
    No Item Name No Item Name
    1 본체(Casing) 11 여과망(Strainer)
    2 전동기(Fan Motor) 12 지지대(Support)
    3 전동기 지지대 (Motor Support) 13 하부수조(Water Basin)
    4 산수기(Splinkler) 14 보급수 (Makeup Water Inlet)
    5 산수관 (Splinkler Pipe) 15 냉각수입구(Water inlet)
    6 송풍기(Fan) 16 냉각수출구 (Water Outlet)
    7 충진재(Filler) 17 배수구(Drain)
    8 다리(Leg, Support Stand) 18 감속기 (Speed Reducer)
    9 사다리(Ladder) 19 비산방지판(Eliminator)
    10 집수구 (Suction Tank) 20 턴버클(Turn Buckle)
  • 01미려한 외관

    Casign 및 하부수조가 FRP제품으로 주변환경과 조화할 수 있는 색상 선택의 유리함과 FRP 자체의 미려한 특징이 어우러져 외관이 우수합니다.

  • 02내부식성 향상

    FRP제품인 Casing의 부식에 대한 반영구성과 주요 철재 부품의 우수한 응용 아연 도금처리로 수며을 한층 더 높였습니다.

  • 03고강도, 내열성 증대

    부분적으로 취약했던 기존의 FRP제품에 보강 및 구조개선으로 강도를 높이고,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경질염화비닐을 충진물에 채택하여 내열성도 높였습니다.

  • 04저소음, 고효율

    최근 보완한 V-Belt감속기와 고효율의 Axial fan으로 소음 및 효율면에 만족할 만한 효과가 있습니다.

  • 05열교환 성능증대에 따른 냉각효과 향상

    파형형상의 전공성형된 충진물로 탑내에서 우수한 열교환 능력, 공기배출부에서 원만한 공기흐름, 등으로 냉각효과를 높였습니다.

  • 06취급 및 보수점검의 편

    산업용의 철재냉각탑에 비하여 대부분의 부품이 고강도 경량형으로 만들어져 취급이 간편하고, 부분적인 조립식 구조로 되어 있어 보수 점검이 쉽습니다.